Git 사용하기
* 터미널을 이용한 방법
- 처음에 프로젝트할 폴더를 만든 후, 그 폴더의 디렉토리에 들어간다.
- 터미널을 통해 폴더에 들어간 후, "git init"을 친다.
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(내 이름)"
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(내 이메일 주소)"
위에 3번과 4번은 그 이전의 config 세팅을 하지 않았다면 치고 설정한다.
* SourceTree (GUI)을 이용한 방법.
Create을 누른 후, 폴더 디렉토리를 누른 후 생성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여기까지가 처음 git 폴더/세팅 설정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Git status: 현재 상태 확인
* Git add-A: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들을 타임캡슐에 넣는다는것.
(stage상태로 만든다)
(git status를 입력하면 untracked files → changes to be committed 상태로 바뀐다)
* Git commit -m "설명할 내용": 설명과 함께 타임캡슐을 묻는다.
* Git log: 여태까지 했던 로그 기록들을 보여준다.
* Git reset: 과거로 돌아간다. (강력함, 과거이후 삭제)
ex) Git reset 7ddf44 --hard (7ddf44는 로그 commit 이후에 있는 맨앞 6자리)
* Git revert 7ddf44: 과거로 돌아간다. (약함)
*Git branch my-idea: 평행우주 만들기.
Master→my-idea branch 생성; 현시점에서 두 미래로 분리.
*Git branch 입력 → Master와 새로만든 my-idea branch가 보인다.
*Git checkout my-idea: 새로운 branch, my-idea로 넘어가고 싶을 때 사용.
* 새로운 branch에서의 내용을 master branch에 업데이트 하고 싶을 때:
1. Git checkout master (먼저 master branch로 다시 체크아웃 한다)
2. Git merge my-idea (myidea라는 새로운 브렌치를 현재 체크아웃된 브렌치에 적용)
(1번에 의해 master branch에 적용)
* Git log --graph--all--decorate: 시각화 된 두 분기에서의 작업내용 확인
* Git rebase my-idea: merge와 비슷함.
하지만 분기(가지들)이 한줄로 깔끔하게 합쳐져 나옴
* Git branch -D my-idea: My-idea 브렌치를 삭제
'Articl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rticles] 클러스터링 알고리즘들 (Unsupervised Learning이란?) (0) | 2020.02.09 |
---|---|
머신러닝 기초 (0) | 2020.01.05 |
3. Ensemble (0) | 2019.12.28 |
2. Statistical Methods (0) | 2019.12.27 |
1. XG Boost (0) | 2019.12.24 |
댓글